이는 주로 운전자가 전날 마신 술이 덜 깼거나 밤새 술을 마셨거나 아침에 음주한 경우로 추측된다.
30일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(TAAS)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음주운전 교통사고 8만6747건 중 9.1%인 7900건이 오전 6∼10시에 일어났다.
구체적으로 보면 오전 6∼8시에 4725건, 오전 8∼10시에 3175건이 발생했다.
아침 시간대 음주운전 교통사고 7900건 중 휴가철인 7∼8월에 일어난 사고는 1386건으로 17.5%를 차지했다.
아침 시간대 음주운전 교통사고 비율이 가장 높은 달은 6월(9.97%)이었고, 휴가철인 7월(9.57%)과 8월(9.4%)에도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.
연말연시인 1월(8.69%), 12월(8.38%)에는 아침 음주운전 사고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.
도로교통공단은 피서 등으로 음주가 잦은 휴가철에는 숙취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.
공단 관계자는 “아침 시간대에 일어나는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주로 운전자가 전날 마신 술이 덜 깼거나 밤새 술을 마셨거나 또는 아침에 음주한 경우로 추측된다”면서 “다음날 운전을 해야 한다면 전날 과음을 삼가고, 아침이더라도 술이 덜 깼다면 출발 시간을 조정하거나 운전자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”고 당부했다.